【 기자 】

 지난해 9월 군은 북한 추정 세력에 의해 군 내부망을 해킹당했습니다.

 한·미 전시작전계획인 '작계 5027' 등 기밀 다수가 해커에게 넘어간 걸로 알려졌고 군은 해킹을 막아 줄 컴퓨터 백신의 빠른 교체 등 대책을 내놨습니다.

 하지만, 군이 절치부심하며 내놨던 대책이 표류하고 있습니다.

 국방부가 새 백신을 설치해줄 업체를 모집한다는 입찰 공고를 지난달 냈지만 단 1곳만 지원하며 '유찰' 처리됐기 때문입니다.

 게다가 그 1개 업체마저 지난해 해커에게 뚫렸던 백신을 공급했던 H사여서 사실상 군이 새로 설치할 수 있는 백신은 없는 상황입니다.

 업체들이 지원을 꺼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.

 사업비 31억 원에 비해 직원을 상시배치해야 하는 등의 조건이 까다롭다는 겁니다.

 여기에다 항상 해커의 표적이 된다는 불안감도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
 

▶ 인터뷰(☎) : 김승주 /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

- "요구하는 여러 조건 대비 국방부가 지불하는 총 사업 액수가 너무 낮게 책정돼 있기 때문에 그런 거고요, 보안소프트웨어에 대한 가격이 현실화되지 않는 한 이런 문제는 계속 발생…."

 

 문제는 새 백신 도입이 미뤄지면서 해킹 사건 이후 1년이 넘도록 한번 해킹당한 기존 백신을 계속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.

 군은 보완 작업을 거쳐 '유찰' 처리된 사업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군이 애초에 해킹 대책의 기본인 새 백신 사업을 너무 안일하게 추진했던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옵니다.

 

(전문보기 : http://mbn.mk.co.kr/pages/news/newsView.php?category=mbn00006&news_seq_no=3314909)